안녕하세요. 다콜드게임입니다.
사회인야구경기를 위해서는 양팀 선수, 심판원, 기록원, 야구장이 필요합니다.
보통 운영자(협회나 개인)가 중간 역할을 합니다.
프로야구로보면 KBO역할입니다.
운영자(리그, 운영위원회, 운영진, 사무국 등으로도 부름)는 심판.구장.기록. 홈페이지 등 온라인서비스까지
참가비를 받고 제공합니다.
경기는 1년, 상반기나 하반기, 단기간 토너먼트대회로 운영되며 참가비는 보통 경기수에 비례합니다.
프로야구도 KBO에서 심판원과 기록원을 야구경기에 보내는 것 처럼,
운영자(리그, 운영위원회, 운영진, 사무국 등으로도 부름)는 심판.구장.기록. 홈페이지 등 온라인서비스까지
참가비를 받고 제공합니다.
경기는 1년, 상반기나 하반기, 단기간 토너먼트대회로 운영되며 참가비는 보통 경기수에 비례합니다.
프로야구도 KBO에서 심판원과 기록원을 야구경기에 보내는 것 처럼,
사회인야구도 운영진에서 심판원,기록원을 채용한다고 보면 됩니다.
프로야구와는 다르게 운영진에서 심판원, 기록원을 직접 할 수도 있지요.
리그나 대회 운영자가 기록원으로 쓸만하다고 판단하면 사회인야구기록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자격증이나 증명서가 필요없습니다.
심판도 마찬가지입니다.
심판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몇년전부터 KBO기록강습회 수료증을 요구하는 운영자가 많아졌습니다.
- 아마도 KBO기록전문과정이 생긴 후부터인 것 같아요.
- 아마도 KBO기록전문과정이 생긴 후부터인 것 같아요.
따로 자격증이 없기 때문에 KBO 기록원 과정 수료증이 자격증처럼 인정받고있습니다.
심판은 명지전문대에서 실시하는 KBO심판학교 수료증이 거의 필수입니다.
심판은 명지전문대에서 실시하는 KBO심판학교 수료증이 거의 필수입니다.
(UA라고 부르는 한국야구심판아카데미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선수출신이 그냥 심판을 봤지만, 이제는 개인 운영자가 운영하는 소수의 리그에서만 가능한 이야기입니다.
그러므로 사회인야구 기록원이 되려면 KBO기록강습회를 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영자와 어떤 강력한 인맥이 있다면 수료증이 없어도 됩니다.^^)
KBO 기록강습회는 3일짜리 기본 강습회와 심화과정인 5주짜리 전문과정이 있습니다.
(사진 출처 : KBO 홈페이지 )
저는 제일 처음 기록을 배우고 싶어서 정기 기록강습회 신청했는데 너무 어려워서 하나도 모르겠더라고요.
기록을 안하니 머리 속에 남는 것도 없고요. 그래서, 그 다음 해에 3일짜리를 또 들었습니다.
예전에는 기본강습회와 전문과정을 별도로 신청받았는데, 최근에는 기본강습회를 받고 난 사람들 대상으로 전문과정을 신청받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신청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이야기 같아요.
사회인야구 기록도 기본적으로 프로야구 기록법을 바탕으로 합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의 엘리트야구 기록도 있는데요, 프로야구와 거의 유사합니다. 그래서, KBO 기록강습회를 수료하면 사회인야구 기록원이 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제가 볼때 기록하기에는 프로야구가 가장 쉽습니다. 특정 상황의 발생 빈도나 선수교체나 여러가지 면에서요.
제가 볼때 기록하기에는 프로야구가 가장 쉽습니다. 특정 상황의 발생 빈도나 선수교체나 여러가지 면에서요.
그 다음으로 엘리트야구(초,중,고,대학교 야구부) & 독립리그 - 사회인야구 1,2부 - 사회인야구 3부 ,4부 & 여자야구 - 연예인야구 순으로 기록하기가 어렵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프로야구에서도 사회인야구 4부와 같은 점수가 나오기도 하더라고요. 그것도 자주...(한국 프로야구 수준이 매우 심각합니다)
초보자의 경우 기록 연습은 프로야구로 먼저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을 거라 생각합니다.
곧 기록법에 대해서도 하나씩 올리겠습니다.
이상입니다~